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노바백신의 모든것과 관련주식

by *~ zor~* 2021. 11. 16.

 

 

 

노바 백신의 모든 것과 관련 주식

 

코로나19 백신이 부족한 가운데 노바 백신의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노바백스에서 개발한 노바백신의 장점은 접종의 부작용이 작고 2~8도로 상온에서 보관이 가능하여 유통이 용이하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자. 

 

 

노바백신-관련주식-썸네일
노바백신 정보

 

 노바 백신이란?

 

기존의 백신의 면역체계와는 다른 단백질 재조합 기반으로 개발한 백신으로 미국의 메릴랜드 주에 위치한 노바백스라는 회사에서 개발하였다. 노바 백신은 스파이크 단백질에 맞서는 항체들의 생산을 돕게 하는 전통적인 백신체계를 이어가고 있다.

 

 

 

 

 

 노바 백신의 안정성

 

노바백스는 잘 알려진 백신 얀센, 화이자, 아스트라보다 안정성과 효과가 높다고 평가되었다. 단 다른 백신들에 배해 검사 결과가 늦게 나타나서 빛을 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정성을 다른 백신들 보다 증중 부작용 및 이상반응은 발생되지 않아 안정성이 높고 동시에 코로나에 대한 항체의 생성 수준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난해 9월 노바백스는 최종적 영구에서 1만 5천여면을 포함한 대규모 임상 3상 실험을 시작하여 연구의 막바지에 돌입했었고, 20년 12월 28일경 미국 내에서도 3만여 명 인원으로 임상 3상 시험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곧 임상 3 상의 결과가 발표 예정이지만 미국, 유럽 등의 주요구가에서 다른 백신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백신 이으로 주목하고 있다.

 

 

 

 

 노바백스는?

 

노바백스는 미국의 주식 나스닥에서 상장폐기 위기까지 직면한 기업이다. 백신 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었으나 번번이 개발에 실패하고 마지막의 도전으로 코로나백신읠 개발하게 되었다고 한다. 상장폐기 위기라는 언덕을 넘었지만 타 백신들에 비해 뒤 떨어진 진입과 진행의 속도로 아직도 개발에 몰두하고 있어 다시금 임상시험의 결과에 초점을 두고 있는 기업으로 안정성만 확보된다고 하면 다른 백신들보다 경쟁률이 뛰어나다고 보고 있다. 

 

 

 

 

 노바 백신 장점

 

우선 다른 기존 백신들 보다 보관이 용이하다. 영하 20~70도 의 초저온 환경에서 보관해야 하는 화이자, 모더나 백신에 비해 노바 백신의 경우 영상 2~8도로 보관이 가능하며 내장 보관으로 유통이 유리하다. 백신의 부작용의 RNA를 감싼 지방 입자가 사용되지 않아 부작용이 없는 것이 가장 장점으로 손꼽고 있다.

 

 

 

 한국 정부의 노바 백신

 

정보는 노바 백신 4000만회 분을 확보했다고 발표를 했었으나 올해 8월 노바백신 개발사 노바백스가 3분기 긴 습사용 승인 신청이 차질이 생겨 우리나라로 들여올 물량이 부족하게 된 것이다. 다른 나라들의 긴급사용승인이 떨어지게 되어 백신의 양이 부족하여 승인을 미룬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있었다. 현재는 노바 백신 임상 3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하며 이 결과가 안정적으로 인정될 시에 백신 부족의 문제가 해결될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노바 백신 관련 주

 

노바 백신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주식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관려 주 3곳을 살펴 보겠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주식차트-사진
sk 바이오사이언스



sk 바이오 사이언스
기준일 11.15일 보다 5,000원이 상승했고, 노바백신 관련주의 하나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디알젬-주식차트-사진
디알젬

 


디알젬
기준일 11.15 전날보다 -50 감소,  전달 10월 1일 자 마감 금액 10,500원 보다 1,650원 상승하고 있다.
 

 

켐온-주식차트-사진
켐온


켐온
기준일 11.15 전날 마감 금액보다 -30 감소하였으나 , 다시 오름새로 돌아갈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마무리

 

소식이 점점 없었던 노바 백신이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현재 부스터 샷 접종으로 백신의 물량이 부족한 가운데 노바 백신의 유통이 활발해져서 안정적인 백신 접종이 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